투자

인플레이션과 미국 통화량 M2

CDimension 2023. 3. 20. 03:33

M2는 Money Supply의 한 지표로서, 현금, 예금, 정기예금, 적금, 채권 등 시중에서 유동성을 가지는 통화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M2는 통화량 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표 중 하나이며, 통화의 규모나 경제활동 수준을 파악하는 데에 매우 유용한 지표입니다.

M2는 일반적으로 통화정책의 수단으로 사용되며, 중앙은행이 통화량 조절을 위해 M2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통화량을 조절합니다. 예를 들어, 경기침체를 해결하기 위해 중앙은행은 M2를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통화정책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M2는 현금, 예금, 정기예금, 적금, 채권 등 여러 가지 형태의 통화를 포함합니다. 현금은 물론 통화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며, 예금은 은행에 예치되어 있는 금액을 의미합니다. 정기예금과 적금은 은행에 예치되어 일정 기간 동안 이자를 받을 수 있는 형태의 예금입니다. 채권은 정부나 기업 등이 발행하는 채권으로, 만기에 원금과 이자를 지급받을 수 있는 형태의 금융상품입니다.

미국 통화량 M2. 2020년 3월, 이전과는 비교가 안될 정도의 천문학적인 통화량 증가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020년 3월에는 COVID-19 대유행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금융시장에서는 대규모의 변화가 발생했습니다.

경제적 충격을 예상한 시장 참여자들과 소비자들에 의해 시중의 유동성이 급격하게 빠져나가면서 경제는 일시적으로 침체상태에 접어들게 됩니다. 이에 따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는 마비된 경제를 활성화 시키고자 엄청난 양의 유동성을 공급하게 되고, 이를 보여주듯 미국의 통화량 M2는 급격하게 증가하였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정부의 경제지원책과 더불어 민간 부문에서도 현금 보유량이 증가하면서 발생한 것입니다. 대규모의 경제적 충격에 대비하여 기업들은 현금 보유량을 늘리기 위해 자금을 차입하는 경우가 많아졌고, 또한 개인들도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현금 보유량을 늘리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통화량의 증가는 지금의 인플레이션과 금리 변동성을 초래하게 되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물가 상승률을 의미하는데, 통화량이 증가하면서 공급 측면에서 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물가 상승률이 과도하게 치솟는 경우, 연방준비제도는 이를 제어하기 위해 금리 인상을 단행할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통화량이 급격하게 증가한 시점에서 현재의 급격한 금리 변동은 예정된 수순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