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롬프트에 세부 묘사와 표현이 부족하면 일반적이고 부정확한 이미지가 생성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미지 출력 결과를 커스터마이즈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추가하지 않았을 경우 또한 그렇습니다.
이처럼 원하는 이미지를 출력하지 못하시는 분들을 위해, Midjourney가 여러분의 생각을 이해시키고 더 나은 이미지를 제작하는 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기술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기본 설정 변경하기
Midjourney의 기본설정도 무난하지만,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려면 설정을 조정해야 합니다. 설정을 변경하려면 /settings 명령을 사용하세요.
미드저니 설정에서 최신 버전의 미드저니를 사용하려면 'MJ version 5.2'를 누르고, 생성된 이미지들의 프롬프트을 수정 가능하게 하려면 'Remix mode'를 누르세요.
이제 최신 트레이닝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미지가 출력되며, 생성한 이미지의 프롬프트를 편집할 수 있습니다.
미드저니 프롬프트 공식
간단하고 짧은 미드저니 프롬프트는 일반적으로 미드저니 트레이닝 데이터에서 직접 가져온 이미지를 생성하는 반면, 더 자세한 프롬프트를 사용하면 완전히 새롭고 고유한 이미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다음은 블루베리 팬케이크에 대한 짧은 프롬프트입니다.
waffles with butter
그리고 동일한 프롬프트지만 상세한 설명을 추가한 예입니다.
commercial photography of waffles with butter, ultra-detailed, black isolated background, studio light, Shot on 60mm lens, 8k resolution, hd
차이가 보이시나요?
프롬프트의 디테일 수준은 생성된 이미지의 고유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그렇기 때문에 배경, 조명, 카메라 렌즈, 형식 및 기타 요소와 같은 세부 사항을 포함하여 원하는 결과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합니다.
MidJourney 프롬프트 작성에 아래 공식을 추천드리지만, 이 공식을 반드시 따라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프롬프트에 작성할 세부 사항을 생각해낼 창의성이 필요하시다면, ChatGPT를 이용해 세부 사항과 다양한 스타일의 프롬프트를 작성하도록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제 초보적인 이미지 출력에서 벗어나 더 나은 이미지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가장 중요한 파라미터에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파라미터 사용법
프롬프트 가중치
여러 요소가 있는 복잡한 프롬프트를 작성하는 경우 '::' 뒤에 숫자를 사용하여 특정 개체에 더 많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숫자가 높을수록 최종 출력에서 더 많은 가중치를 갖습니다.
몇 가지 예를 살펴보겠습니다.
Forest::3, Fog::2, Moon::1
같은 단어를 사용하되 가중치를 달리해 보았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Forest::1, Fog::2, Moon::3
보시다시피 숫자가 높을수록 최종 이미지에서의 중요도가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거티브 프롬프트
출력 이미지에 특정한 물체를 포함하지 않으려면 --no 파리미터를 추가합니다.
사과가 들어 있지 않은 과일 한 바구니를 원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bowl of fruit --no apples
스타일
Midjourney 이미지의 예술적 수준을 결정합니다.
미드저니 모델은 아트 형식, 색 구성표 및 구도를 만들도록 학습됩니다. --stylize 또는 --s 뒤에 숫자(--s 0~1000)를 사용하여 이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숫자가 클수록 이미지가 더 예술적으로 보이지만 프롬프트와 연결성이 떨어질 수 있고, 숫자가 작을수록 프롬프트와 거의 일치하는 이미지를 만들지만 예술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평균 Style 수치는 --s 100으로 설정됩니다.
몇 가지 예를 살펴봅시다.
a black panther staring at the camera--s 1000 --ar3:2
입력한 프롬프트와 관계 없는 디테일과 예술성이 많이 강조된 느낌입니다.
Style 수치의 값을 줄여 봅시다.
a black panther staring at the camera--s 500 --ar3:2
이 예제에서는 500이 1000과 마찬가지로 잘 수행되었습니다. 배경 묘사는 오히려 1000과 비교해 잘 해주었습니다. 이제 파리미터를 --s 0으로 설정하겠습니다.
a black panther staring at the camera--s 0 --ar3:2
이제 차이를 명확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분명 프롬프트 대로 정확한 이미지를 출력해 줬지만 예술적인 측면이 완전히 배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혼돈
Chaos는 그리드에 표시되는 결과의 변동 수준을 결정합니다. 이 파라미터의 값이 높을수록 비정상적이고 예상치 못한 결과가 더 많이 나타나며, 값이 낮을수록 안정적인 결과가 더 많이 나타납니다. --chaos 또는 --c 뒤에 숫자(--c 0~1000)를 사용하여 이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평균 Chaos 수치는 --c 0으로 설정됩니다.
몇 가지 예를 살펴봅시다.
puppy sleeping on a book --c 0 --ar3:2
Chaos 수치 0으로 안정적인 결과를 얻었습니다. Chaos를 100으로 설정하면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살펴봅시다.
puppy sleeping on a book --c 100 --ar3:2
보시다시피, Chaos 100으로 얻은 이미지 중 몇개는 원했던 이미지가 아닙니다.
품질
Quality는 Midjourney의 이미지 처리 수준(또는 이미지 생성에 소요되는 시간)을 결정합니다. 값이 높을수록 디테일이 더 풍부한 이미지가 생성되지만 구독자의 GPU 시간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Quality의 기본값은 1이지만 0.25, 0.5, 1, 2 또는 5와 같은 다양한 옵션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quality 또는 --q 뒤에 숫자(--q 0~1000)를 사용하여 이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예를 살펴봅시다.
colorful flower meadow, gentle sunbeam --q 0.25 --ar3:2
q 0.25를 사용하면 표준 옵션보다 4배 더 빠르고 저렴하며 매우 단순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이제 0.5를 사용해 보겠습니다.
colorful flower meadow, gentle sunbeam --q 0.5 --ar 3:2
q 0.5를 사용하면 표준 옵션보다 두 배 더 빠르고 저렴하며 디테일 수준이 감소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마지막으로 1, 2, 5를 사용하여 훨씬 더 디테일을 추가해 보겠습니다.
colorful flower meadow, gentle sunbeam--q 1 --ar 3:2
colorful flower meadow, gentle sunbeam --q 2 --ar3:2
colorful flower meadow, gentle sunbeam --q 5 --ar 3:2
--q2과 --q5 둘 다 디테일 수준이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q2와 --q5 사이의 눈에 띄는 차이는 없었습니다.
종횡비
기본적으로 Midjourney는 모든 이미지를 1:1 종횡비의 정사각형 형식으로 생성합니다. 그러나 다른 비율이 필요한 경우 Aspect Ratio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지정할 수 있습니다. --aspect 또는 --ar 뒤에 숫자(--ar n:n)를 사용하여 이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가로 이미지의 경우 프롬프트 끝에 --ar 3:2를 추가하고 세로 이미지의 경우 --ar 2:3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luminescent mushroom in the forest --ar 3:2
luminescent mushroom in the forest --ar 2:3
YouTube 썸네일에 사용되는 16:9와 스마트폰의 셀카 비율인 9:16 등 옵션은 다양합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치형 앱테크 Honeygain, 허니게인으로 쉽게 수동소득 만드는 법 (0) | 2023.07.26 |
---|